1. 서블릿 클래스 저장 폴더
classes 폴더에 서블릿 클래스 파일들을 두지만, 해당 폴더는 서버 관리자만이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폴더에 접근할 수 없어야 한다.(WEB-INF 폴더는 외부에서 절대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다.)
2. 서블릿 호출 과정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무언가를 요청할 때 특정 서블릿이 실행되어야 한다면,
실제 서블릿 클래스 이름이 아닌 숫자와 같은 매핑된 코드로 특정 서블릿이 실행되도록 호출을 한다.(위 사진에서는 4번)
3. 서블릿 코드와 URL 매핑
서블릿 코드를 매핑하는 것은 위와 같다.
Nana.class 라는 서블릿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hello 매핑된 이름으로 접근하도록 하였다.
hello라는 url이 오면 na라는 서블릿을 실행해달라고 하고, na 서블릿은 Nana 클래스를 의미하고 있다.
즉, hello라는 url을 Nana 서블릿 클래스를 로드하고 실행하는 매핑 역할을 수행한다.
4. 실행 모습
클라이언트 입장인 웹 브라우저에는 아무런 동작없이 흰 화면만 나타나며,
Tomcat 서버에는 hello Servlet이라는 문자열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웹 브라우저에 문자열이 출력되도록 수정해보자.
'서블릿&JSP > 뉴렉쳐 서블릿&JSP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블릿/jsp] POST 요청 (0) | 2023.06.17 |
---|---|
[서블릿/jsp] GET 요청과 쿼리스트링 (0) | 2023.06.17 |
[서블릿/jsp] 한글과 콘텐츠 형식 출력하기 (0) | 2023.06.17 |
[서블릿/jsp] 이클립스를 이용한 서블릿 프로그래밍 (0) | 2023.06.17 |
[서블릿/jsp] Servlet 문자열 출력 (0) | 2023.06.16 |